2016. 9. 30. 18:14ㆍ자격증 공부/정보처리기사
<기출 문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건물에 IT 기술 활용해 건축 설비를 관리하는 시스템
그린 IT
IT 이용해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 제공하는 것
데이지(DAISY; Digital Accessible IS)
시각, 독서 장애인 위한 국제 디지털 문서 포맷
Digital Archiving
디지털 정보 자원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컴퓨터 이용해 각종 생명정보 처리하는 학문(유전자 예측, 바이오 칩 개발 등)
스마트 그리드
정보 기술 전력에 접목해 효율성 제고한 시스템
재설정 비디오 코딩(RVC; Reconfigurable Video Coding)
MPEG에서 제정한 다중 비디오 부호화 표준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대중의 지식 모인 것(위키피디아)
업무 연속성 계획(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재해 피해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하는 것
EA(Enterprise Architecture)
IT 인프라의 구성, 구현 기술 체계적으로 기술한 청사진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
IT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일종의 교본
Thin Client PC
HD나 주변 장치 없이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PC 의미
인터럽트
예기치 않은 상황 발생시 일시 중단하고 처리한 후 복귀하는 것
CC(Common Criteria;공통 평가 기준)
정보 보호 제품 평가 기준. 1998년에 G5 간 상호 인정 협정 체결됨
HVC(High performance Video Coding)
AVC 이후 표준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표준
Variable BitRate(VBR)
상황에 따라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압축 방법
범용 플러그앤플레이(UPnP; Universal Plug and Play)
PC나 프린터 등 주변 기기를 홈네트워크에 접속해 공유해주는 기술
전자 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기계장치 컴퓨터로 제어케해주는 장치
Flash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MP3, 휴대전화 등에 사용)
3D Printing
얇은 두께로 쌓아올려 3D 형체를 만드는 기술
USB(Universal Serial Bus)
주변 장치와 컴퓨터 간 PnP 인터페이스(최대 127개까지)
RAM;Random Access Memory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장치
Register
처리 데이터나 연산 중간 결과 저장(CPU 내부에 위치)
멤리스터(Memristor)
메모리+레지스터. 전원 끊겼다 켜져도 원상태로 복원됨(부팅 시간 단축에 이용)
아스키 코드(ASCII Code)
원래 7비트. 패리티 비트 추가해 8비트로 사용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방대한 데이터 중심으로 미래 행동 패턴, 추세 예측하는 기법
FCFS(First Come First Served, =FIFO)
선입선출
RR(Round Robin)
FCFS를 선점 형태로 변경한 것
SJF(Shorted Job First)
실행 시간 짧은 것부터
SRT(Short Remaining Time)
SJF를 선점 형태로 변경한 기법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대기/서비스 시간 큰 순서대로
목표 복구 시점(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
Sort(정렬)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
DBMS
DB를 관리해주는 SW
SQL(Structed Query Language)
질의어이면서 데이터 dmc 기능 다 갖춤
Gray-Box Testing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 시험이 혼합된 방식
기초 안정성 검사(Smoke Testing)
안정성 측면에서 주요 기능들이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Broad Data
빅데이터와 달리 다양한 정보 뜻함
모듈
잘 정의된 한 가지 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분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IS를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IT 아키텍처
SaaS;SW as a Service
SW를 소유권 없이 빌려쓰는 모델
SW 위기
SW 개발 속도가 HW 개발 속도 따라가지 못해 생기는 문제
업무 분업 구조(WBS; Work Break down Structure)
업무를 세분화하여 관리하기 쉽게 하는 것
OS
사용자와 HW 간의 인터페이스
유닉스(UNIX)
시분할 시스템 위해 설계딘 대화식 OS, C 언어로 작성
멀티미디어
문자, 영상 등 통합해 처리하는 미디어 포맷
전문가 시스템
고도 업무 지원 위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Hadoop
오픈 소스 기반으로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악성 SW(Mal-ware)
악의적 목적 위해 작성된 코드 or 프로그램
Compiler
고급 언어로 된 것을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번역 프로그램
PDF 파일
SW 종류 상관없이 호환 가능한 문서 형식
OGSA(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학 위한 표준
Widget(위젯)
웹 브라우저 통하지 않고 정보 전달 받는 GUI
Dev-ops
시스템 개발과 운영을 병행하는 방식
증발품(Vaporware)
판매나 배포 계획 발표해 놓고 자꾸 지연되는 SW(예. FF15)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고주파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10cm 안에서)
네트워크 준비 지수(NRI; Networked Readiness Index)
ICT의 발전도와 경쟁력을 국가별로 평가한 지수
Space Club
인공위성 우주로 발사한 나라의 집합
원격 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
전기, 가수 사용량 확인을 원격 단말기 이용해 하는 것
Cloud Computing
컴퓨팅 자원 중앙 컴퓨터에 모아놓고 단말로 접속해 사용하는 환경
Protocol
컴퓨터들 간 정보 교환 위한 통신 규약
ICMP(Internet Control Management Protocol)
IP와 조합하여 오류의 처리, 전송 경로의 변경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프로토콜
IPSec(IP security protocol)
안전한 통신 실현 위한 통신 규약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임플란트 장치 간 통신 서비스
NGN(Next Generation Network)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완전한 이동성 목표)
PAD(Packet Assembly and Dis-)
데이터 전송 위해 패킷으로 조립/분해 장치
QoS(Quality of Service)
지연 시간, 데이터 손실률 보증 위한 서비스 규격
SYN
동기 유지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
VPN(Virtual Private Networks)
공중 네트워크를 자신의 전용 회선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와 도시 등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새로 고침 없이도 대화형 웹페이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Tele-presence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케
IoT(Internet of Things)
다양한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 제공
M2M
무선 통신 이용한 기계 간 통신
MODEM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 장치
SDN(SW Defined Networking)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 관리하는 네트워크
SSID(Service Set IDentifier)
무선 랜을 서로 구분해주는 고유 식별자
TEIN(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아시아와 유럽 연결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
NDN(Named Data Networking)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 전송하는 기술
Domain Name
IP 주소를 이해하기 쉽게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
Multicast
1:n 버킷 릴레이 식으로 정보 전송
Anycast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만 정보 전송.
Unicast
1:1로 정보 전송
Cookie
특정 웹 사이트 접속 정보 저장해놓고 자동 로그인 가능케
FTP(File Transfer Protocol)
컴퓨터 간 파일 전송 위한 프로토콜
IMS(IP Multimedia Subsystem)
IP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하는 규격
mobile Commerce
모바일로 은행, 결제 이용하는 것
Subscription Commerce
전문가에 의해 선정된 제품들 주기적으로 배송 받는 상거래
Mashup
웹 상 정보 이용해 새로운 SW나 서비스, DB 만드는 기술
Ping of Death
큰 패킷 고의 전송하여 발생한 서비스 거부 공격
DoS
사용자 적절 대기 시간 내 사용을 방해하는 행위
DDoS
대량의 좀비컴 이용해 다량의 패킷 보내 '시스템'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Trojan)
SMURFING
대량의 데이터 한 '사이트'에 집중 전송해 네트워크 마비시키는 것
Pro-teur
전문가 같은 아마추어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HTML보다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 제공하는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업데이트 잦은 사이트 내 정보 쉽게 확인케
Semantic Web
정보 가공해 이해하기 쉽게 보여주는 지능형 웹
Splogger
Spam+blogger 다른 사람 콘텐츠 무단 복사해 자기 블로그에 올리는 블로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상에서 통화 가능케(예. 스카이프)
스마트 정보격차(Smart Divide)
SNS 활용하는 사람과 아닌 사람 간 정보 격차
위치 기반 SNS(LBSNS)
위치 기반 서비스에 SNS 결합시킨 것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 자원 위치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
CNAME(Canonical NAME)
여러 개 도메인 이름을 하나의 IP 주소로 변환해 사용하는 것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개인/회사에 인터넷 접속, 사이트 구축 서비스 제공하는 회사들
Meformer
Me+Informer. 나를 알리는 데만 열중하는 사람
Social Curation
자기 취향대로 정보 가공해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
Trackback
남 블로그에 댓글 대신 달아서 내 글 소개하는 것
Typo-squatting
유사한 유명 도메인 미리 등록하여 광고 사이트로 이동하게만듬
Webaholism
인터넷 중독증
Hashtag
핵심어 편리하게 검색케 해주는 메타데이터(예 #월드컵)
디지털 발자국(Digital Footprint)
사람들이 인터넷 활동하며 남긴 기록 또는 흔적
비트코인
가상의 디지털 화폐. 2009년에 만들어짐
공격용 툴킷(Attack Toolkit)
네트워크 컴퓨터 공격 위해 악성 코드를 모아 놓은 것
데이터 유출 방지(DLP; Data Leakge Prevention)
내부정보 유출 방지 솔루션
방화벽(Firewall)
정보 선별해 수용/거부하는 보안 시스템, 인증한 패킷만 통과시킴
스니핑(Sniffing)
네트워크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 도청
IP Spoofing
공격자 IP 주소 속여 패킷을 보내는 방식(남으로 위장하여)
무작위 공격(Brute Force Attack)
암호 찾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 적용해 공격하는 것
Switch Jamming
위조된 MAC 주소 흘려보내 스위칭 허브 마비시키는 것
인터넷 개인식별번호(i-PIN;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터넷 주민번호, 언제든지 새로운 것으로 변경 가능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컴퓨터 시스템 오용, 남용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PET; Privacy Enhancing Technology)
개인정보 위험관리 기술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 중개자 역할(방화벽, 캐시 기능 가짐)
OTP(One-Time Password)
해당 세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1회성 pw 생성하는 보안 시스템
WPA(Wi-Fi Protected Access)
Wi-Fi에서 제정한 무선랜 인증 및 암호화 관련 표준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개인 정보 침해에 대한 대응책 수립하기 위한 것
화면 해킹(Screen Hacking)
감염된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 상 모든 작업 볼 수 있음
Cyber Bullying
인터넷에서 상대에게 나타내는 적대 행위(예. 모욕 메시지)
Digital Forensics
디지털 정보 수집하는 수사 과정
Patent Troll(특허 괴물)
로열티 수입만으로 돈 버는 특허 관리 전문 기업
ART(Advanced Persistent Threats, 지능형 지속 위협)
보안 무력화해 중요 정보 빼내는 공격(예. 이메일 꾸준히 발송해 한 번이라도 클릭되길 기다리는)
Botnet
감염된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것. 전염시킨 컴퓨터 원격 조종해 정보 빼냄
CCL(Creative Commons Licence)
저작물 이용 약관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비디오 암호화 전송 보호하기 위한 규격
Pharming(파밍)
DNS 이름 속여 진짜 사이트로 오인케해 개인 정보 훔치는 것
Social Engineering(사회 공학)
신뢰 바탕으로 사람 속여 보안 깨트리는 것
SSL(Secure Sockets Layer)
넷스케이프에서 개발한 인증, 암호화 보장하는 업계 표준 프로토콜
Trap Door
액세스 편의 위해 고의로 시스템 보안 제거해놓은 비밀 통로
Zero Day Attack
존재 자체가 공표되기도 전에 이루어지는 보안 공격
Zombie
다른 사용자 조종하도록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
Hacktivism
정치적 목적 달성 위해 웹 사이트 해킹하는 활동
Tvishing
스마트TV 해킹해 사생활 몰래 촬영해 유출하는 것
Ransomware
내부 문서 암호화해 열지 못 하게 한 후 해독 프로그램 전달 조건으로 돈 요구
개인환경서비스(PES;Personal Environment Service)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 환경 제공하는 서비스
Giga Fi
60GHz 대역 이용해 전송. 주변 간섭 저항, 보안성이 뛰어남
Ubiquitous
모든 사물에 컴퓨터 기능 내장해 무선으로 정보 제공받는 환경
AP(Access Point, 무선 접속장치)
무선 랜과 유선 랜 연결시켜주는 장비
ACN(AP Centric Network)
AP가 내장된 단말기로 구성된 네트워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바코드 대체 기술로, 스캐닝 없이 태그 1초에 수백개까지 읽을 수 있음
WEP(Wired Equivalent Privacy)
유선 랜 급의 보안을 제공하는 무선 랜 보안 프로토콜
WiFi(Wireless-Fidelity)
무선 랜 규격 인증 마크. WECA가 상호 접속성 테스트한 후에야 인증 취득 가능
BYOD(Bring Your Own Device)
개인 소유 단말기를 업무에 사용하는 환경
N-Screen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컨텐츠 자유롭게 이용케
Phablet
Phone과 Tablet의 합성어로 대화면 스마트폰 뜻함
Beacon
무선 통신 신호 기술로, 자동으로 이용자 위치 파악해 서비스 제공
마그네틱 안전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LoopPay사가 개발, 휴대폰을 마그네틱 결제 단말기에 근접시켜 신용카드 정보 전송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거래에 관한 문서 표준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조직 내 지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Stereoscope
다른 각도에서 찍은 두 사진을 동시에 보게 해 물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기기
Zapping Effect(재핑 효과)
채널을 돌리다 중간에 있는 채널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
Data Diet
압축, 배제 등 통해 방대한 정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
코드커터족(Cordcutters)
TV 해지하고 인터넷 방송을 선택하는 소비자군
금융기술(FinTech)
인터넷 기술을 금융 산업과 접목시킨 서비스
O2O(Online to Offline business, 온 오프라인 연결 비즈니스)
온라인 매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을 유치하는 마케팅 방법
Foursquare
위치 기반 SNS로 장소 방문하면 보상으로 배지 받음
Nomophobia
스마트폰이 곁에 없을 때 불안, 두려움 느끼는 증상
Social Dining
SNS 통해 관심사 비슷한 사람끼리 모여 식사하는 모임
Infodemics
정보와 전염병의 합성어로 정보 확산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 말함
<미기출 문제>
모자이크 정보 이론
아무 의미 없어 보이는 정보를 모아 새로운 정보 얻어내는 것
신경 공학(Neuro-engineering)
생체 신경 신호로부터 정보 추출해 활용하는 것
튜링 시험
기계의 지능이 인간처럼 작동하는지 대화 통해 확인하는 시험법
공유 자원 포털
공공 기관 보유 정보를 모아 서비스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생체모방기술(Bio-mimetics)
생물체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모방하여 이용하는 기술
***Deep Learning
두뇌를 모델로 한 기계 학습 기술
Second Screen
TV 시청의 보조 기능 수행하는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Wearable Robot
착용하면 근력 증폭시켜주는 로봇
클라우드 데스크톱 서비스(Cloud DaaS;Desktop as a Service)
서버에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실행/저장됨
Electronic Skin
피부에 달라붙어 몸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Intelligent Energy Fabric
옷 자체가 피부 자극 감지&반응
SW Escrow
개발자 지적재산권 보호 위해 소스를 제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Eclipse
C, JAVA 등의 통합 개발 플랫폼, 그래픽 기반 도구 생성 기능 제공
표현 정보(PI;Presentation Info)
영상의 재생 시점 정보임. 영상과 음성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 해결해줌
Server Farm
컴퓨터 서버, 운영 시설을 한 곳에 모아놓은 곳
촉각 인터페이스(Haptic Interface)
촉각 정보 전달하는 접속 장치
<2016년 최신 용어>
지능형 가상 비서(IPA;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비서처럼 사용자 요구 작업 처리하는 AI(예. 애플 시리)
free Sofware
누구든지 자유로이 사용, 복사 가능케 소스 코드와 함께 배포되는 SW
Swift programming language
애플사에서 아이폰, 맥북용 앱 개발 위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
먹거리테크(foodtech)
IT 활용한 음식 관련 서비스
민하드웨어(bare metal)
SW 설치돼 있지 않은 컴퓨터 HW
자동 계정생성 방지 기술(CAPTCHA)
회원가입 시 사용자가 사람인지 컴퓨터인지 판별하기 위한 시도.
blockchain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블록으로 연결해 peer들에게 분산 저장하는 것(안전성 up)
HMD(Head Mounted Display)
머리 착용 형태의 디스플레이(예. PS VR)
MongoDB
대표적 NoSQL DB 시스템, 데이터 분산 저장&확장 용이, C++ 언어로 작성
'자격증 공부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 문제 추가 (0) | 2016.10.05 |
---|---|
알고리즘 테스트 (0) | 2016.10.04 |
실기 SQL, 정규화 등 정리 (0) | 2016.09.30 |
실기 DB 개념 정리 (0) | 2016.09.30 |
실기 알고리즘 풀이법 정리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