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Git
Git 기본 개념(1) - ADD, COMMIT
juyinjang25
2016. 10. 13. 16:56
Git은 변경 사항만 저장함
1) 수정된 버전이 오류 났을 때 복귀 가능
2) 단체 작업에서 누가 언제 무엇을 수정했는지 모니터링 가능
Git Remote repository(서버) | |
↑git push A B | ↓git pull A B |
Git Local repository(=Git의 실제 저장소) | |
↑git commit(수정사항만 올림) | ↓git revert c09b802 |
Staging(대기실) Commit할 파일 정보 저장 | |
↑git add 파일명 | ↓git reset 파일명 |
Working Directory(작업 폴더) |
<작동 순서>
1) 파일을 저장할 폴더로 이동(cd를 이용해) OR 마우스 우클릭으로 'Git Bash' 클릭
2) git init(git을 시작; git 파일을 해당 폴더에 저장하기로 함)
3) git status(track 중인 파일 확인)
<Track 중인 것은 녹색, Untracked는 적색으로 표시됨>
4) git add test.txt(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림=track함)
파일이 수정될 때마다 일일히 add해줘야함.
그래야 녹색(commit 가능함)으로 표시됨.
5) commit하기(-m: message 옵션, commit에 이름을 달 수 있음)
* auto commit
6) git log로 commit 정보(저자, 날짜 등) 확인 가능